저자
김성구(金誠龜)
1948년에 태어나, 경희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경도국립박물관에서 연수하였다. 1976년 국립경주박물관의 학예연구사로 공직을 시작하여 부여, 진주, 대구, 광주, 경주 등의 여러 국립박물관장을 거쳐 국립중앙박물관의 학예연구실장을 역임한 후 2009년에 퇴직하였다.
재직 중에 경주동국대학교(불교학과, 고고미술학과), 영남대학교(회화과), 창원대학교(사학과), 부산대학교(고고학과), 영남이공대학(산업디자인계열), 전남대학교(인류학과) 등에 출강하여 역사고고학과 한국문화사를 강의하였다.
전공은 ‘한국의 기와’로, 한국기와학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으며, 국가유산청의 문화유산감정위원과 문화유산위원(사적분과), 충청남도, 광주광역시, 경상북도, 서울특별시 등의 문화유산위원 및 인천국제공항공사의 문화예술 자문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저서로는 『옛 기와(1992)』, 『옛 전돌(1999)』, 『백제의 와전예술(2004)』, 『한일의 기와(2009, 공저)』, 『日韓の瓦(2009, 공저)』, 『한눈에 보는 제와(2018)』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다수의 논문이 있다.
본문내용
저자는 국립박물관에서 기와를 전공한 연구자로, 귀신의 얼굴을 무섭게 장식한 귀면기와에 대한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었다. 기와는 고대부터 목조건물의 지붕을 덮는 주요 건축 부재로 사용되었으며, 방수, 방화, 내구성 및 미관적인 요소를 겸비한 중요한 자재였다. 특히, 기와에 새겨진 문양들은 당시 사람들의 길상과 벽사, 불교적인 염원을 표현하며, 행복과 건강, 자손의 번영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귀면은 대개 앞을 주시한 정면관으로 표현되며, 송곳니와 앞니를 드러낸 무서운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귀기(鬼氣)가 서린 이 얼굴은 눈이 튀어나오고 두 눈썹이 치켜졌으며, 콧구멍이 뚫린 코와 소처럼 솟은 귀, 이마에 돋아난 뿔 등 강력한 인상을 남겼다. 이러한 귀면은 재앙을 막고 사귀를 쫓는 벽사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옛사람들은 이를 두려워하면서도 신성한 얼굴로 여기며 지혜롭게 활용했다.
2009년 정년 이후 귀면기와에 관한 작은 책을 준비했으나, 연구 과정에서 귀면이 기와와 전돌 외에도 다양한 고대 및 고려 시대의 유물, 미술품 등에 장식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전국 수백 곳의 유적과 사찰, 고택을 조사하며 자료를 집성하였고, 700여 점의 귀중한 자료를 확보하여, 귀면기와뿐만 아니라 한국의 다양한 귀면 장식을 다룬 『한국의 귀면』을 출판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 문화에서 귀면이 차지하는 비중과 위상을 실감하게 한 중요한 작업이었다.
『한국의 귀면』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장식된 다양한 귀면 자료를 총망라하고, 각 시대별로 귀면의 사용처와 변천 과정을 분석했다. 특히, 조선 후기의 귀면 장식은 현지에 많이 보존되어 있어 그 실태와 특성을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 또한, 귀면의 개념, 관련 용어, 도깨비, 용면, 치우, 키르티무카 등의 유사 개념을 폭넓게 검토하였다. 이 책은 귀면 연구의 전모를 제시하며, 한국의 건축과 문화에서 귀면이 차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밝혀냈다.
목차
머리말 / 4
제1장 귀면의 개념과 유형
제1절 귀신과 귀면 / 14
1. 귀신이란? / 15
2. 귀면의 개념 / 17
제2절 귀면의 유형분류 / 21
1. 귀형 / 21
2. 귀두 / 22
3. 귀면 / 23
4. 유익귀면 / 23
5. 귀목 / 24
6. 고리귀면 / 24
제3절 귀면 관련의 문헌과 가사 / 25
1. 귀면 / 25
2. 귀면의 사자성어 / 26
3. 나티 / 29
4. 귀 와 / 30
5. 귀두 / 31
6. 귀도의 귀모와 귀자 / 32
7. 수두 · 수면 / 34
8. 나두 · 나어두 / 37
제4절 귀면의 기원설 / 39
1. 도철설 / 39
2. 신상설 / 40
3. 기두설 / 42
4. 사자설 / 42
5. 방상시설 / 43
제2장 한국의 귀면장식과 그 변천
제1절 고구려의 귀면 / 46
1. 고분벽화의 귀면장식 / 46
2. 귀면기와 / 56
제2절 백제의 귀면 / 62
1. 귀형문전돌 / 62
2. 금동대향로의 귀형 / 64
3. 금동신발의 귀형 / 66
4. 귀면기와 / 68
5. 허리띠의 귀면 / 69
6. 고리자루칼의 귀면 / 74
7. 기타 귀면장식 / 75
제3절 신라의 귀면 / 78
1. 금동신발의 귀형 / 78
2. 귀면기와 / 80
3. 허리띠의 귀면 / 82
4. 화살통의 귀면 / 83
5. 교구의 귀면 / 84
6. 귀면 · 봉황문장식 / 86
제4절 가야의 귀면 / 88
1. 도자의 귀면 / 88
2. 허리띠의 귀면 / 89
3. 말방울의 귀면 / 91
4. 기타 귀면장식 / 92
제5절 통일신라의 귀면 / 95
1. 귀면기와 / 96
2. 귀면와범 / 106
3. 귀면전돌 / 106
4. 사천왕상의 귀면 / 108
5. 십이지상의 귀면 / 115
6. 금동귀면옷걸이 / 117
7. 금동투조귀면장식 / 117
8. 기타 귀면장식 / 119
9. 승탑의 유익귀면 / 121
10. 금동귀면문고리 / 122
11. 돌방무덤의 귀면문고리 / 124
12. 석탑의 귀면문고리 / 125
13. 사리외함의 고리귀면 / 127
14. 금동향로의 고리귀면 / 130
제6절 발해·후삼국의 귀면 / 132
1. 발해의 귀면기와 / 132
2. 후삼국의 귀면기와 / 135
제7절 고려의 귀면 / 142
1. 귀형 / 142
2. 귀두 / 144
3. 귀면기와 / 146
4. 사천왕의 귀면 / 151
5. 귀면청동로 / 152
6. 청자 · 토기의 귀면 / 153
7. 정병의 귀면 / 155
8. 금강령의 귀면 / 156
9. 금동귀면장식 / 158
10. 무석인의 귀면장식 / 159
11. 족석의 고리귀면 / 160
12. 청동항아리의 고리귀면 / 161
13. 도자 · 토기의 고리귀면 / 163
14. 승탑의 고리귀면 / 166
제8절 조선의 귀면 / 169
1. 귀형 / 170
2. 귀두 / 173
3. 귀면기와 / 187
4. 귀면화반 / 199
5. 건축부재의 귀면장식 / 224
6. 불단의 귀면 / 241
7. 닫집의 귀면 / 264
8. 사천왕 · 금강역사의 귀면 / 266
9. 윤장대의 귀면 / 284
10. 돌다리의 귀면과 귀두 / 287
11. 돌계단의 귀면 / 292
12. 비석의 귀면 / 295
13. 탑비의 귀면 / 310
14. 부도의 귀면 / 317
15. 무기의 귀면 / 324
16. 무석인의 귀면장식 / 332
17. 상여 · 불연의 귀면 / 340
18. 방울의 귀면 / 346
19. 장승의 귀면 / 349
20. 열쇠패의 귀면 / 350
21. 기타 귀면장식 / 352
22. 기와의 귀목 / 354
23. 고석의 고리귀면 / 359
24. 청동그릇의 고리귀면 / 365
제3장 귀면의 정체성과 특이점
제1절 귀면의 정체성 / 368
1. 얼굴 위주의 정면관 / 368
2. 두 눈으로 사귀를 경계하다 / 371
3. 입을 벌려 사귀를 제압하다 / 373
4. 귀면의 뿔 / 376
5. 이귀제귀의 벽사 / 378
제2절 특이한 귀면장식 / 380
1. 「왕(王)」자명 귀면 / 380
2. 연꽃 · 금강저를 입에 문 귀면 / 384
3. 물고기를 입에 문 귀면 / 389
4. 외뿔귀면 / 395
제3절 신라 귀면기와의 주요 관점 / 403
1. 황룡사 9층탑의 창건기와 / 403
2. 당와는 녹유귀면기와이다 / 406
제4장 귀면과 다른 존재
제1절 도깨비의 귀면 차용 / 412
1. 도깨비의 개념 / 412
2. 도깨비의 주요 자료 / 414
3. 귀면 차용 / 417
제2절 용의 귀면 도용 / 420
1. 용의 개념 / 420
2. 용면 제기의 오류 / 421
3. 귀면과 용장식의 상위 / 423
제3절 치우의 귀면 이용 / 430
1. 치우의 개념 / 430
2. 치우와 귀면의 차이 / 432
제4절 귀면과 무관한 키르티무카 / 436
1. 키르티무카의 개념 / 436
2. 키르티무카의 주요 자료 / 438
3. 귀면과 다른 키르티무카 / 450
참고문헌 / 456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