엮은이
최 성 락
서울대학교에서 고고학을 전공하여 문학박사를 취득하였다. 목포대학교에 부임하여 고고인류학과를 개설하고, 후진을 양성하였다. 대학박물관이 설립된 이후 전남 서남부지역의 여러유적을 발굴조사하였고, 선사문화 및 고대문화를 밝히는 100여 편의 논문과 ‘고고학 입문’, ‘야외 고고학 입문(번역)’, ‘한국 원삼국문화 연구’, ‘영산강유역 고대사회 형성과정 연구’ 등 10여권의 저서가 있다. 경력으로는 한국고고학회, 한국상고사학회, 호남고고학회 등의 학회장과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 목포대학교 명예교수이다.
본문내용
호남 지역 철기시대에 대한 연구는 1983년 해남 군곡리 패총의 발견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필자는 1992년 박사학위논문 『전남지방 원삼국문화의 연구』를 통해 기존의 초기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의 시대구분을 전남 지역에 적용할 수 없음을 지적하였으며, 이를 통해 철기시대를 독립된 시대로 재정립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3세기 후반까지를 호남 지역 철기시대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이후 호남 지역 철기시대에 대한 여러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특히 철기시대 토기 연구, 패총 연구, 공백과 단절 문제 등이 주요 연구 주제로 다루어졌다. 제1부에서는 철기시대 연구현황과 시대구분 문제를, 제2부에서는 철기시대 토기의 유형과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제3부에서는 패총의 형성 배경을 분석하였으며, 제4부에서는 철기시대의 공백과 단절 문제에 대한 반론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필자는 학문을 통해 진정한 자유와 학문적 진리에 다가가는 방법을 체득하였다. 기존의 학설을 검토하고 새로운 고고학 자료를 분석하면서, 필자는 선입견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사고가 학문적 성취의 핵심임을 인식하였다. 또한, 자신의 주장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며, 다른 관점에서도 문제를 바라보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필자는 학문적 진리에 가까이 다가가는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이 저서를 통해 그간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였다.
목차
제1부 호남지역 철기시대 연구현황과 전망 / 11
제2부 철기시대 토기론 / 57
1. 와질토기론의 비판적 검토(최성락) / 59
2. 철기시대 토기의 실체와 연구방향(최성락) / 79
3. 토기 연구방법론의 검토(최성락) / 109
4. 경질무문토기의 개념과 성격(최성락) / 131
제3부 패총의 형성 배경 / 153
1. 철기시대 패총의 형성 배경(최성락ㆍ김건수) / 155
2. 호남지역 철기시대 패총의 형성 배경(최성락ㆍ박호성) / 187
제4부 공백과 단절의 문제 / 217
1. ‘방사성탄소연대로 본 원삼국시대-삼국시대 토기편년’ 에 대한 반론(최성락ㆍ강귀형) / 219
2. ‘호남지역 원삼국시대 편년과 지역성’에 대한 반론(최성락ㆍ이동희) / 237
3. ‘초기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 고고학 자료의 인식’에 대한 반론(최성락ㆍ강귀형) / 277
4. 고고학에서 공백과 단절의 문제(최성락) / 295
5. 점토대토기의 연구현황과 과제(최성락) / 323
6. 점토대토기 시기의 문화양상과 사회성격(최성락) / 367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