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이동희
경북 성주 출생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학사·석사·박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학과(고고학전공)에서
‘전남동부지역 복합사회 형성과정의
고고학적 연구(2006)’로 박사학위 취득
순천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실장,
전라남도 문화재전문위원,
경상남도 문화재전문위원 역임
현재는 인제대학교 교수·박물관장·가야문화연구소장
주요 논저
『청동기시대의 고고학 4-분묘와 의례-』(共著)
『동인도네시아의 거석문화와 건축』(共著)
『영남의 지석묘 사회』(共著)
『영산강유역 마한제국과 낙랑·대방·왜』(共著)
『해남반도 마한 고대사회 재조명』(共著)
『고고학을 통해 본 아라가야와 주변제국』(共著)
『안라(아라가야)의 위상과 국제관계』(共著)
『한국고대사국의 국경선』(共著)
『가야사의 인식변화』(共著)
『가야와 주변, 그리고 바깥』(共著)
『백제와 섬진강』(共著)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고구려사회의 변화』(共著)
『대외관계로 본 후백제』(共著)
『고대 동북아시아의 수리와 제사』(共著)
『왕릉의 고고학』(共譯) 외 다수
지석묘는 삼국시대 고분에 비해 유물이 화려하지 않고 역사기록이 없어 연구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하지만, 필자는 지석묘 발굴조사를 지속하면서 문자 기록이 없는 거석기념물에 관심을 두고 그 역사적 의의를 밝히고 싶었다.
본서는 지석묘를 단순히 선사시대의 범주에 묻어두지 않고 정치체가 본격적으로 형성되는 삼한사회의 직전 단계로 파악하여 복합사회(complex society) 형성과정의 가시적인 증거로 파악하고자 한 노력의 결실이다. 단순사회(simple society)에 대비되는 용어가 복합사회인데, 전자는 평등사회, 후자는 불평등사회로 볼 수 있다. 한국고고학계에서는 여러 촌락이 병렬적인 평등한 단계에서 점차 중심촌락(大村)이 등장하여 주변
촌락을 통제하는 종적인 단계를 불평등의 시원이자 초기 정치체 혹은 읍락(邑落) 형성과 관련짓고 있다. 최근 고고학적 성과로 보면, 청동기시대 중후기 이후에 읍락이 형성되고 곧이어 삼한 소국이 등장하므로 당시 대표적인 묘제인 지석묘의 연구는 한국 상고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분야인 것이다.
기존에 한국 고고학계에서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등의 시대구분이 오히려 지석묘와 우리나라 초기 정치체 성장과정을 이해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한 면도 있다. 즉, 기존에 지석묘는 대개 청동기시대와 관련짓는 견해가 강하지만, 그 하한이 초기철기시대 및 원삼국시대(조기)까지 연결되어 삼한사회와 연계되어 있다는 점을 상기하면 그 계기적인 연결고리에 반드시 관심을 가져야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청동기시대 전공자는 지석묘를 연구하되 삼한사회와 유기적으로 연결짓지 못하고, 원삼국시대 전공자들은 주로 목관묘 이후를 대상으로 하기에 지석묘 축조사회에서 비롯된 삼한사회의 계기적인 형성과정을 심도있게 연구하지 못하는 한계성이 상존한다. 본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불식시키고자 하였다.
목차
책머리에 / 5
단위 지석묘 사회의 분석
지석묘 축조집단의 단위와 집단의 영역 / 15
단위 지석묘군의 분석 / 51
여수반도 지석묘 사회의 계층구조 / 103
함안지역의 지석묘 사회 / 131
지석묘문화를 통해 본 복합사회 형성과정
전남지방 지석묘 사회와 발전단계 / 205
영산강유역 마한 초현기의 분묘와 정치체의 형성 / 249
순천 동천유역의 복합사회 형성과정 연구 / 294
보성 조성리유적과 읍락 형성과정 / 337
古 대산만 지석묘 사회와 다호리 집단 / 363
古 김해만 정치체의 형성과정과 수장층의 출현 / 416
지석묘 문화의 비교
한국과의 관련성으로 본 일본 지석묘 문화의 재검토 / 481
인도네시아 숨바섬과 한국 지석묘 사회의 비교 연구 / 526
전남 · 경남지역 청동기시대 묘제와 지역성 / 567
호남지방 점토대토기문화기의 묘제와 지역성 / 602
부록
지석묘의 재활용과 그 의미 / 643
참고문헌 / 683
찾아보기 / 713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